프레스룸

[탐사보도 세븐] 탈원전 4년, 그 현주소는

2021.11.25


<탐사보도 세븐>
탈원전 4년, 그 현주소는

 

- TV CHOSUN <탐사보도 세븐> 오늘(25일) 밤 8시 방송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시행된 지 4년. 그런데 원전 사업을 담당하는 한수원 사장이 지난 10월 국정감사에서 “원전 없이 탄소중립은 불가능하다”라고 발언했다. 현 정부의 기조에 맞춰 탈원전 정책에 동참했던 한수원 사장은 왜 이 같은 발언을 한 것일까?

 

오늘(25일) 밤 8시 방송되는 TV CHOSUN <탐사보도 세븐 - 탈원전 4년, 그 현주소는> 편에서는 탈원전 정책 4년이 남긴 것은 무엇인지, 그 실태와 문제점을 파헤쳐 본다.

 

■  무너진 ‘원전 생태계’ 그 현장은?
문재인 정부는 신규 원전 건설의 백지화를 발표하며, 이미 건설하기로 확정된 신한울 3‧4호기를 멈춰 세웠다. 당초 원전 부지로 지정된 경북 울진은 원전에 대한 경제 의존도가 70%. 전체 인구의 5분의 1 정도가 원전 관련 산업의 종사자다. 그런데 탈원전 정책 선언 후 지역 경제는 악화일로인 상황. 원전 부품을 생산하는 공장 역시 위태롭기는 마찬가지. 탈원전 정책으로 인해 피폐해진 지역 경제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들의 피해를 점검한다.
 
■  탄소 중립、탈원전·신재생 에너지로 가능한가?
현재 한국의 전력 발전원 중 원전이 차지하는 비율은 29.9%, 재생에너지는 6.6%다. 정부는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율을 60.9~70.8%로 높이고, 원전은 6.1~7.2% 줄이겠다고 발표했다. 과연 가능한 일일까? 취재진은 태양광이 설치된 영암과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 단지 고창을 찾아가, 신재생에너지의 실태와 탈원전·신재생에너지로 탄소중립이 가능한지 검증해 보았다.

 

■  모순된 탈원전 정책、원전의 미래는?
원전의 안전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이유로 탈원전 정책을 밀어붙이면서도, 정작 원전의 해외 수출은 장려하고 있는 정부. 이런 행태가 모순적이라는 지적까지 나오는 가운데, 천문학적인 비용이 드는 탄소중립 이정표를 두고 산업계도 반발하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신재생 에너지원의 비율 확대를 강행할 경우, 국가적으로 투입해야 하는 재정이 2050년까지 연간 1000조 원이 넘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문 정부의 탈원전 정책 4년, 이대로 괜찮은가.

 

자세한 내용은 오늘(25일) 밤 8시에 방송되는 TV CHOSUN <탐사보도 세븐>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배포일 : 2021.11.25]